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
#안전보호구 #안전보호구의 종류 #사용법 #보호구란 #안전모 #안전화 #안전장갑 #방진마스크 #방독마스크 #송기마스크 #전동식 호흡보호구 #보호복 #안전대 #보안경 #용접용 보안면 #방음보호구
보호구의 종류 및 사용법
2 | 보호구 종류 및 사용법 |
보호구의 종류 |
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보호구는 다음과 같다.
보호구 착용 대상 작업 |
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ㆍ위험한 작업을 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호구를 착용토록 정하고 있다.
대상작업 | 보호구 |
●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작업 | 안전모 |
●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물체에 끼이거나 감전, 정전기 대전 위험이 있는 작업 | 안전화 |
● 소음, 강렬한 소음, 충격소음이 일어나는 작업 | 청력보호구 |
●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는 선창 등의 하역작업 | 방진마스크 |
●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작업 | 방진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 |
●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 | 호흡용 보호구 |
● 밀폐공간에서 위급한 근로자를 구출하는 작업 ● 탱크, 보일러, 반응탑 내부 등 통풍이 불충분한 장소에서의 용접작업 ● 지하실이나 맨홀 내부, 그 밖에 통풍이 불충분한 장소에서 가스 공급 배관을 해체, 부착하는 작업 ● 밀폐된 작업장의 산소농도 측정 업무, 측정장비와 환기장치 점검 업무, 근로자의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 지도·점검 업무 ● 밀폐공간 작업 전 관리감독자 등의 산소농도 측정 업무 |
송기마스크 |
대상작업 | 보호구 |
● 유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(통풍이 불충분한 차량, 선박, 탱크, 터널·갱, 맨홀, 피트·덕트, 수관·수로 등) 에서 단시간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작업 ● 유기화합물을 넣었던 탱크(증기 발산 우려가 없는 탱크 제외) 내부에서의 세척 및 페인트칠 작업 ● 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업무 ● 밀폐 설비나 국소 배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을 취급하는 업무 ●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 설치된 환기장치 내의 기류가 확산될 우려가 있는 물체를 다루는 업무 ● 유기화합물 취급 장소에서 유기화합물의 증기 발산원 밀폐설비(유기화합물이 제거된 설비는 제외)를 개발하는 업무 |
송기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 |
● 산소결핍증이나 유해가스로 근로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 작업 | 안전대, 송기마스크 |
● 석면 해체·제거작업 | 방진마스크(특등급), 송기마스크, 전동식 호흡보호구, 고글형 보안경 전신 보호복, 보호장갑과 보호신발 |
●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| 보안경 |
대상작업 | 보호구 |
●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용접작업 | 보안면 |
● 감전 위험이 있는 작업 ● 노출 충전부가 있는 맨홀, 지하실 등 밀폐공간에서의 전기작업 ● 이동 및 휴대장비 등을 사용하는 전기작업 ● 정전전로 또는 그 인근에서의 전기작업 ● 충전전로 인근에서의 차량, 기계장치의 운전·조작작업 |
절연용 보호구 |
● 인체에 정전기가 대전돼 화재 또는 폭발 위험이 있는 작업 | 정전기 대전 방지용 안전화, 제전복 除電服 |
● 고열에 의한 화상이나 열피로 위험이 있는 작업 ● 다량의 고열 물체를 취급하거나 매우 더운 장소에서 하는 작업 |
방열복 |
● 섭씨 영하 18도 이하인 급냉동 어창에서의 하역작업 ● 다량의 저온물체를 취급하거나 현저히 추운 장소에서 하는 작업 |
방한모, 방한복, 방한화, 방한장갑 |
● 진동작업 | 진동보호구(방진장갑 등) |
대상작업 | 보호구 |
● 피부 자극성·부식성 관리 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작업 ● 관리 대상 유해물질(유기화합물, 금속류, 산·알칼리류, 가스 상태 물질류 등)이 흩날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 ●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|
불침투성 보호복, 보호장갑, 보호장화, 보안경 |
● 금지유해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| 불침투성 보호복, 보호장갑 방진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 별도 정화통 있는 호흡용 보호구 |
●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의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지역에서 하는 작업 | 호흡용 보호구, 보호복 보호장갑, 신발덮개, 보호모 |
● 혈액이 뿜어 나오거나 흩뿌릴 가능성이 있는 작업 | 보안경, 보호마스크 |
●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작업 | 보호장갑 |
●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 | 호흡용 보호구 |
● 혈액 또는 혈액 오염물을 취급하는 작업 | 송기마스크 |
● 많은 혈액이 의복을 적시고 피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작업 | 보호앞치마 |
● 공기정화기 등의 청소와 개·보수작업 | 보안경, 방진마스크 |
● 높이, 깊이 2미터 이상의 떨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| 안전대 |
보호구의 사용 |
1. 안전모 |
안전모의 주요 보호기능은
- 물체의 떨어짐, 날아옴, 부딪힘으로부터 근로자 머리를 보호
-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
- 전기작업 시에는 감전 재해를 예방
2. 종류별 보호위험 |
3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착장체 조절나사로 자신의 머리 크기에 맞게 착용한다.
- 착용한 다음 턱끈을 조여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.
- 착용 중에 모체가 충격을 받거나 변형되면 폐기한다.
- 모체를 유기용제 등으로 닦거나 세척하지 않는다.
- 턱끈 등 착장체는 변형되거나 인증되지 않은 부품으로 교체하지 않는다.
4. 안전모 착용방법 |
1. 안전화 |
안전화의 주요 보호기능은
- 중량물의 떨어짐이나 끼임 등에 따른 발과 발등 보호
-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찔림 위험으로부터 발바닥 보호
- 감전 예방과 정전기의 인체 대전 방지
- 각종 화학물질로부터 발을 보호
2. 종류별 보호위험 |
3. 등급별 사용장소 구분 |
- 중작업용
광업 · 건설업 · 철광업의 원료 취급 · 가공, 강재 취급 · 운반, 건설업 등의 중량물 운반, 중량이 큰 가공 대상물 취급작업을 하며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가 있는 장소 - 보통 작업용
기계공업 · 금속가공업 · 운반업 · 건축업 등 공구 가공품을 손으로 취급하는 작업 및 차량 사업장, 기계 등을 운전 · 조작하는 일반작업장으로서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가 있는 장소 - 경작업용
금속 선별, 전기제품 조립, 화학제품 선별, 반응장치 운전, 식품 가공업 등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취급하는 작업장으로서 날카로운 물체에 찔릴 우려 가 있는 장소
4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정전화는 감전 위험 장소에서 착용하지 않는다.
- 안전화는 훼손, 변형하지 않는다. 특히 뒤축을 꺾어 신지 않는다.
- 절연화, 절연장화는 구멍이나 찢김이 있으면 즉시 폐기한다.
- 내부가 항상 건조하도록 관리한다.
- 가죽제 안전화는 물에 젖지 않도록 한다.
- 안전화가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으면 물에 씻어 말린다.
1. 안전장갑 |
안전장갑의 주요 보호기능은
- 전기작업에서의 감전 예방
- 각종 화학물질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기능
2. 종류별 보호위험 |
3. 등급별 사용장소 구분 |
- 용도와 작업 내용, 수준에 맞아야 한다.
-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00등급에서 4등급까지이며 숫자가 클수록 두꺼워 절연성이 높다.
-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1~6의 성능 수준이 있으며, 숫자가 클수록 보호 시간이 길고 성능이 우수하다.
-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왼쪽의 화학물질 방호 그림을 확인한다.
- 화학물질용 안전장갑은 사용 물질에 맞는 보호 성능이 있는지 확인
- 사용 화학물질과 제품 인증 화학물질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조사에 정보를 요청해 적합한 것으로 바꾼다.
※ 색상별로 갈색 00등급, 빨간색 0등급, 흰색 1등급, 노란색 2등급, 녹색 3등급, 등색 4등급으로 구분
|
4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사용 전에 구멍이나 찢김이 확인되면 즉시 폐기한다.
- 내전압용 안전장갑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사용한다.
-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기계, 화학, 열에 손상되거나 물리적 이상을 보이면 즉시 폐기한다.
-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제품에 표시된 최대 사용전압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.
- 내전압용 절연장갑은 유류, 휘발용제, 산 · 알칼리 등에 매우 약하므로 절대로 접촉하지 않는다.
1. 방진마스크 |
방진마스크 주요 보호기능은
-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을 걸러내 호흡기를 보호하며 채광, 분쇄, 광물의 재단, 조각, 연마작업, 석면취급작업, 용접작업 등에 사용
2. 종류 |
3. 등급별 성능 구분 |
4. 등급별 사용장소 |
5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사용 전에 흡 · 배기 밸브의 기능과 공기 누설 여부를 점검한다.
- 필터를 수시로 확인해 습하거나 흡 ·배기 저항이 크면 교체한다.
- 흡 · 배기 밸브를 청결하게 유지한다.
- 면체는 중성세제로 흐르는 물에 씻어 그늘에서 말린다.
- 면체는 기름이나 유기용제, 직사광선을 피한다.
- 사용 전에 점검 · 장착 · 사용법을 교육·훈련한다.
- 면체 접안부에 손수건 등을 덧대 사용하지 않는다.
- 다음의 경우에 부품을 교환하거나 폐기한다.
- 여과재 뒷면이 변색하거나 호흡할 때 이상한 냄새가 난다.
- 흡기 저항이 뚜렷하거나 분진 포집효율이 떨어진 것이 느껴진다. - 면체, 흡 · 배기 밸브 등의 파손이나 변형이 확인된다. |
6. 방진마스크 착용방법 |
- 분리식 방진마스크
- 안면부 여과식 방진마스크
1. 방독마스크 |
방독마스크 주요 보호기능은
- 유기용제, 산과 알칼리성 화학물질의 가스와 증기 독성을 제거해 호흡기를 보호
- 유해화학물질의 중독을 방지
석유화학산업 현장이나 도장작업, 산과 알칼리 세척작업, 발포작업 등 다양한 작업에서 사용
2. 종류 |
방독마스크는 6종 화합물질에 대하여 제독능력이 있는 정화통으로 구분되고 있다.
- 정화통 제독시험 가스의 종류와 정화통 표시색 구분
시험가스별 | 정화통의 색 | 대상 유해물질 |
유기화합물용 | 갈색 | 유기용제 등의 가스나 증기 |
할로겐용 황화수소용 시안화수소용 |
회색 | 할로겐 가스나 증기 황화수소 가스 시안화수소 가스나 시안산 증기 |
아황산용 | 노랑색 | 아황산 가스나 증기 |
암모니아용 | 녹색 | 암모니아 가스나 증기 |
3. 등급별 사용장소 |
등급 | 사용장소 |
고농도 |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2%(암모니아는 3%) 이하인 대기 중 |
중농도 |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%(암모니아는 1.5%) 이하인 대기 중 |
저농도 및 최저농도 |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0.1% 이하의 대기 중, 긴급용은 아님 |
산소 농도가 18% 이상인 장소에서는 방독마스크, 고농도와 중농도인 장소에서는 면형 (격리식·직결식) 을 사용한다
※누설율 : 전면형 0.05% 이하, 반면형 5% 이하 |
4. 방독마스크의 형태별 구분 |
5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작업내용에 적합해야 한다.
- 산소 농도 18% 미만, 유해가스 농도 2%(암모니아 3%) 이상인 장소이거나 장시간 작업할 때는 송기마스크를 사용한다.
- 사용설명서에 나와 있는 파과시간이 지나면 즉시 교체한다.
- 밀봉된 상태로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.
- 면체, 배기밸브 등은 방진마스크 사용·관리법을 따른다.
파과시간
유해가스가 걸러지지 않고 통과하는 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 |
6. 착용방법 |
1. 송기마스크 |
송기마스크는
- 산소 농도가 18% 미만이거나
- 유해물질 농도가 2%(암모니아 3%)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할 때 착용
2. 종류 및 사용범위 |
호스 마스크
- 폐력흡인형
착용자의 폐력으로 호스 끝에 고정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를 통해 흡입하는 구조. 호스는 원칙적으로 안지름 19㎜ 이상, 길이 10m 이하여야 한다.
- 송풍기형
전동 또는 수동 송풍기로 신선한 공기를 호스 안면부로 보내는 구조. 송기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(수동에는 공기조절 주머니도 가능)와 송풍기에는 교환 필터를 갖춰야 한다. 안면부로도 공기를 보내 송풍기가 사고로 정지됐을 때 폐력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해준다.
- 송풍기형(전동)
- 송풍기형(수동)
에어라인 마스크
- 일정유량형
압축 공기관, 고압 공기용기, 공기압축기 등으로부터 중압호스와 안면부로 압축공기를 보내는 구조. 중간에 송기풍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, 압축공기 중의 분진과 기름 미스트 등을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갖춰야 한다.
- 디맨드형 및 압력디맨드형
일정 유량형과 같은 구조로서 공급밸브를 갖추고 착용자의 호흡량에 따라 안면부 내로 송기한다.
복합식 에어라인 마스크
- 디맨드형 및 압력디맨드형
보통 때는 디맨드형 또는 압력디맨드형을 사용하다가 급기 중단 등 긴급한 때나 작업상 필요할 경우에는 고압공기용기에서 공기를 받아 공기호흡기로 사용하는 구조. 고압공기용기와 폐지밸브는 KSP 8155(공기호흡기) 규정을 따른다
3. 사용 대상 작업 |
- 산소가 결핍되거나 농도를 모르는 장소
- 쇼트작업같이 고농도 분진이나 유해물질의 증기,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
- 강도가 높거나 장시간 하는 작업
- 유해물질의 종류나 농도가 불분명한 장소
- 방진 · 방독마스크 착용이 부적절한 장소
4. 선정 시 유의사항 |
- 격리되거나 행동반경이 크고 공기 공급원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작업할 때는 공기호흡기를 지급하고 기능을 점검한다.
- 공기가 오염된 곳에서는 폐력흡인형 · 수동형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위험도가 높은 곳에서는 폐력흡인형 사용을 피한다.
- 화재 폭발 위험지역에서는 방폭형을 사용한다.
5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여과장치로 기름, 분진, 유해물질을 걸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.
- 여과장치로 기름, 분진, 유해물질을 걸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.
- 공급 공기의 압력은 1.75㎏/㎠ 이하가 좋으며,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때는 압력을 조절한다.
- 실린더 내 공기 잔량을 점검해 알맞게 대처한다.
- 수동 송풍기형은 장시간 작업할 때 2명 이상이 교대한다.
- 작업 전에 도구 점검, 착용법 지도, 착용 상태 확인을 한다.
- 작업 전에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.
- 작업 중 다음과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즉시 대피한다.
- 송풍량 감소
- 가스나 기름 냄새 발생 - 호흡 공기에 수분이 섞임 - 호흡 공기의 온도 상승 - 기타 이상 상태 |
6. 착용방법 |
1. 전동식 호흡보호구 |
전동식 호흡보호구는
- 고농도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거나
- 장시간 또는 신체 부담이 큰 근력작업을 할 때 유해물질의 흡입을 막고 작업자의 호흡을 돕는다
2. 종류별 보호위험 |
전동식 방진마스크 |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한다. |
전동식 방독마스크 | 유해물질과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정화통과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한다. |
전동식 후드 및 전동식 보안면 |
유해물질과 분진 등이 호흡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효율 정화통과 여과재를 전동장치에 부착해 사용하며 후드로 머리와 안면부, 목, 어깨 부분까지 보호한다. |
3. 전동식 후드와 전동식 보안면의 등급과 사용장소 |
4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사용 전에 배터리 충전과 펌프 작동 상태를 확인한다.
- 산소 결핍 위험지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.
- 방진 · 방독마스크의 사용과 관리기준을 따른다.
1. 보호복 |
보호복은 화학적, 기계적, 물리적 작용으로부터 전신을 보호하는 의류 형태의 것
- 방열복
- 화학물질용 보호복으로 구분되고 있다
2. 방열복 |
방열복의 주요 보호기능은
- 고온에 의한 화상의 방지
- 장시간 고열작업에 따른 열 피로의 방지.
제철, 금속정련, 금속용융, 가우징, 유리용융 등 작업장과 작업용도에 맞춰 착용
방열복의 종류
방열복의 선정기준
- 복사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하는 경우
- 천에 알루미늄 가공을 한 것, 특히 반사율이 높은 라미네이트 처리가 된 것 사용 - 복사열과 용융금속이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
- 천에 알루미늄 가공을 한 것을 사용하며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
- 용융금속이 붙어도 스며들지 않는 구조 - 날아오는 용융금속이 많은 경우
- 일반적으로 가죽이 사용되며 스패터가 붙기 어려운 탄소섬유 등을 사용 - 환경온도가 높은 경우
- 알루미늄 가공 내열의를 착용. 내측에는 소용돌이관이나 냉각재를 이용하여 냉각효과가 있는 것 사용 - 열작업 주변 작업자 경우
- 용접ㆍ고열 물체를 접하는 노 주변 작업자는 내열 · 방염성이 있는 것 사용
3. 화학물질용 보호복 |
화학물질용 보호복은 액체상태 화학물질의 신체접촉으로 인한 화상, 피부손상 등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입는 의복
화학물질용 보호복의 종류 및 형식
종류 | 형식 | 형식구분 기준 |
전신 보호복 |
액체방호형(3형식) | 재질, 솔기 및 접합부가 분사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보호성능을 갖춘 구조 |
분무방호형(4형식) | 재질, 솔기 및 접합부가 분무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보호성능을 갖춘 구조 |
|
부분 보호복 |
액체방호형(3형식) | 재질, 솔기가 분사되는 화학물질로부터 신체의 특 정 부분을 보호하는 성능을 갖춘 구조 |
분무방호형(4형식) | 재질, 솔기가 분사되는 화학물질로부터 신체의 특 정 부분을 보호하는 성능을 갖춘 구조 |
보호복 착용요구작업
- 독성이 강한 농약 및 살충제 등을 살포하거나 가축의 폐기 등 방역작업
- 석면이 함유된 제품의 제조 또는 철거작업
- 제약회사, 식품가공, 반도체 생산 등 청정 실내의 작업
- 독성 또는 부식성 물질 취급 및 제거ㆍ세척ㆍ정화작업
- 페인트 작업, 스프레이 코팅 등 도장 스프레이작업
- 미생물 감염 방지와 땀, 체액 등 인체 오염원에 의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식품가공작업
- 방사성 분진 및 액체를 취급하는 핵물질 취급작업
- 제약 산업
- 사고에 의한 유해물질 긴급처리작업
착용방법
1. 안전대 |
안전대는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안전대만으로는 근로자를 보호하지 못하므로 현장에는 반드시 안전대 걸이를 설치해야 한다.
2. 종류별 보호위험 |
종류 | 사용 구분 | 용도 |
벨트식, 안전 그네식 |
1개 걸이용 | 작업발판이 설치되어 신체를 안전대에 의지할 필요가 없고, 불의의 사고로 떨어짐 시 신체 보호 목적으로 사용 |
U자 걸이용 | 일명 전주용이라 하며, 신체를 안전대에 지지하여야 작업할 수 있는 작업 시 사용 | |
떨어짐 방지대 | 고층사다리 또는 철골, 철탑 등의 상ㆍ하행 시 사용 | |
안전블록 | 떨어짐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 감김장치가 갖추어져 있음 |
※ 비고 : 떨어짐 방지대 및 안전블록은 안전그네식에만 적용함
3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안전대 걸이(부착 설비 등) 를 설치한다.
- 안전대 설치 구조물은 벨트보다 조금 높은 곳에 두도록 한다.
- 로프는 되도록 2m 이내로 짧게 사용한다.
- 로프가 마모되거나 금속제가 변형되지 않았는지 살핀다.
- 지지 로프를 2명 이상이 사용하지 않는다.
- 작업 시작 전에 안전대 및 부속설비를 점검한다 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4조)
- 안전대의 죔줄은 예리한 구조물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.
안전대 종류 및 각부 명칭
4. 착용방법 |
1. 보안경 |
보안경은 유해광선이나 비산물, 분진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눌 수 있다.
- 자외선, 적외선 및 강렬한 가시광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보안경
- 작업 중 발생되는 비산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보안경
2. 종류별 사용구분 |
차광보안경
종류 | 사용 구분 |
자외선용 | 자외선이 발생하는 장소 |
적외선용 | 적외선이 발생하는 장소 |
복합용 | 자외선 및 적외선이 발생하는 장소 |
용접용 | 산소용접작업에서처럼 자외선, 적외선, 강렬한 가시광선이 발생하는 장소 |
일반보안경
종류 | 사용 구분 |
유리보안경 | 비산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의 재질이 유리인 것 |
플라스틱보안경 | 비산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것 |
도수렌즈보안경 | 비산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수가 있는 것 |
3. 등급 및 선정기준 |
- 차광보안경은 용접ㆍ용단작업 등에 적합한 차광번호를 선정하며 숫자가 크면 시감투과율이 낮다.
- 자외선필터는 1.2 ~ 5번까지 구분
- 적외선필터는 1.2 ~ 10번까지 구분 - 용접필터는 1.2 ~16번까지 구분하고, 숫자가 크면 시감투과율이 낮다. |
4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작업에 맞는 보안경인지 확인한다.
- 안전인증을 받은 것인지 확인한다.
- 사용 중 렌즈에 흠, 더러움, 깨짐이 발견되면 교체한다.
- 착용 시 거리감이 불량하거나 이물감 등이 느껴지면 교체한다.
- 청결히 보관하고 사용한다.
1. 보안면 |
작업 시 발생되는 유해 · 위험요인으로부터 얼굴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- 각종 비산물과 유해한 액체로부터 얼굴(머리의 전면, 이마, 턱, 목 앞부분, 코, 입)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일반보안면
- 용접작업 시 유해광선이나 분진 등으로부터 눈과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용접용 보안면
2. 종류별 성능구분 |
구분 | 내용 | |
형태별 | 헬멧형 | 안전모나 착용자의 머리에 지지대나 헤드밴드 등을 이용하여 적정 위치에 고정해 사용하는 형태. (자동용접필터형, 일반용접필터형) |
핸드실드형 | 손에 들고 이용하는 보안면으로 적절한 필터를 장착하여 눈 및 안면을 보호하는 형태 | |
기능 | 일반용접 | 일정한 차광능력을 가진 차광유리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차광유리 개폐를 반복 |
자동용접 | 자외선에 반응하는 자동용접필터를 체용하여 0.5초의 짧은 시간 내에 자외선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빛을 차단 |
3. 등급 및 선정기준 |
- 용접보안면은 용접ㆍ용단작업 등에 적합한 차광번호를 선정하며 큰 숫자가 시감투과율이 낮다.
- 용접필터의 차광번호는 1.2 ~ 16번까지 구분 - 착용이 편안하고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 선정한다.
- 용접면의 유리는 일반유리를 사용하지 않고, 강화유리를 사용한다.
- 보안면에는 돌출 부분, 날카로운 모서리 혹은 사용 도중 불편하거나 상해를 줄 수 있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.
- 착용자와 접촉하는 보안면의 모든 부분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
4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작업에 맞는 보안경인지 확인한다.
- 안전인증을 받은 것인지 확인한다.
- 사용 중 렌즈에 흠, 더러움, 깨짐이 있는지 점검해 이상이 있으면 교체한다.
- 착용 시 거리감이 불량하거나 이물감 등이 느껴지면 교체한다.
- 청결히 보관하고 사용한다.
1. 방음 보호구 |
작업 시 발생되는 각종 소음으로부터 근로자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귀마개와 귀덮개로 크게 나누어진다.
2. 종류별 성능구분 |
종류 | 구분 | 기호 | 내용 |
귀마개 | 1종 | EP-1 |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 |
2종 | EP-2 | 주로 고음을 차음하고, 저음(회화음 영역) 은 차음하지 않음 | |
귀덮개 | - | EM |
폼 타입 귀마개의 종류
재사용 귀마개의 종류
귀덮개의 종류
3. 사용방법 및 관리 |
- 사용설명서에서 안전인증과 차음 성능을 확인한다.
- 귀마개가 자신의 귀에 맞는지 확인한다.
- 귀마개는 반대쪽 손으로 귀를 잡고 위로 당기며 압축해 밀어넣는다.
- 귀마개는 귀 내부로 충분히 들어가게 착용한다.
- 귀덮개가 귀보다 커서 귀를 짓누르지 않는지 살핀다.
- 귀마개는 오염되거나 더러워지면 교체한다.
4. 착용방법 |
귀마개
귀덮개
'산업안전보건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밀폐공간 질식재해예방 (0) | 2023.04.04 |
---|---|
근로자의 작업중지권 (1) | 2023.04.04 |
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- 1.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 (0) | 2023.04.04 |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 - TBM 단계별 활동 내용 (0) | 2023.04.03 |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 - (TBM: Tool Box Meeting) 개요 - (0) | 2023.04.03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밀폐공간 질식재해예방
밀폐공간 질식재해예방
2023.04.04 -
근로자의 작업중지권
근로자의 작업중지권
2023.04.04 -
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- 1.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
보호구의 종류와 사용법 - 1. 보호구의 올바른 이해
2023.04.04 -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 - TBM 단계별 활동 내용
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 - TBM 단계별 활동 내용
2023.04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