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산업안전Q&A] 인접한 두 사업장의 통합 운영시 사업주 의무사항의 귀속 여부
#산업안전질문 #산업안전질의 #산업안전궁금한점 #산업안전Q&A #산업안전질의회시집 #산업안전회시집 #산업안전법
인접한 두 사업장의 통합 운영시 사업주 의무사항의 귀속 여부
질의 |
1. 인접된 A, B 사업장을 경영상의 사유에 의하여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
가. 법 제5조(사업주의 의무), 제10조(보고의 의무), 제11조(법령요지의 게시등), 제12조(안전표지의 부착등), 제13조(안전보건관리책임자), 제14조(관리감독자등), 제15조(안전관리자등), 제23조(안전상의 조치), 제24조(보건상의 조치), 제31조(안전․보건교육) 등 법상 사업주의 의무사항의 귀속 여부
나. 법 제49조의2의 공정안전보고서의 통합유지 여부
다. 산업재해에 대한 책임여부
2. 위 문1에서 시설의 유지 및 보수와 운영의 주체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가, 나, 다의 법 적용여부
회시 |
1. 질의 1의
○ ‘가’항에 대하여
- 귀 문1의 가호에 예시된 각 법 조항별 의무주체는 근로자가 소속된 사업장의 사업주임.
․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“사업주”라 함은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행하는 자임.
○ 나항에 대하여
- A사업장과 B사업장이 통합되기 이전에 각각 공정안전보고서가 제출되어 심사를 마쳤다면 각 공정안전보고서를 통합 작성할 필요는 없으나, 사업장의 통합과정에서 기존 설비의 구조부분이 변경되거나 변경되어 하나의 설비로 공정자체가 통합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작성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함.
○ 다항에 대하여
-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특정 기계․기구 및 설비에 대해서는 제조․수입․ 진열․사용․대여 등에 따라 각 주체별 의무를 달리 부여하고 있으며, 산업 재해의 발생시점, 기인물, 관리 등 의무주체 등 사안에 따라 그 책임의 소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산업재해에 대한 책임을 획일적으로 정할 수는 없음
(산업안전보건법 제33조 및 제34조 등 참고).
2. 질의 2의
○ 가 및 다항에 대하여
-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책임은 건물이나 기계․기구 및 설비 등의 소유여부보다는 근로자가 소속된 사업장의 사업주 여부에 따라 책임소재가 결정 되어야 할 사안으로 사료됨.
○ 나항에 대하여
- 질의 1의 회시내용 참고
(안정 68301-49, 2000.01.18.)
'산업안전 Q&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용근로자가 같은 사업장에서 같은 업무에 투입될 경우 투입 시마다 채용 시 교육을 해야 하는지? (0) | 2023.02.02 |
---|---|
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에도 중대산업재해에 포함되는지. (0) | 2023.02.02 |
안전보건교육을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정해져 있나요? (0) | 2023.02.02 |
산업재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다툼이 있거나 불명확한 경우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는지? (0) | 2023.02.02 |
사업장 또는 자택에서 뇌출혈 등으로 쓰러졌을 때 업무상재해 해당여부 (0) | 2023.02.02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일용근로자가 같은 사업장에서 같은 업무에 투입될 경우 투입 시마다 채용 시 교육을 해야 하는지?
일용근로자가 같은 사업장에서 같은 업무에 투입될 경우 투입 시마다 채용 시 교육을 해야 하는지?
2023.02.02 -
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에도 중대산업재해에 포함되는지.
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에도 중대산업재해에 포함되는지.
2023.02.02 -
안전보건교육을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정해져 있나요?
안전보건교육을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정해져 있나요?
2023.02.02 -
산업재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다툼이 있거나 불명확한 경우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는지?
산업재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다툼이 있거나 불명확한 경우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는지?
2023.02.02